분류 전체보기24 지역개발 전략의 의의 및 성격 1. 지역개발 전략의 의의지역개발 또는 지역계획은 지역문제로부터 비롯되었습니다. 개별국가의 다양한 지역문제는 그 나름대로 독특한 지역개발 또는 지역계획을 추진하게 하였습니다. 개별국가의 역사적 배경, 경제적인 발전의 정도, 지형적인 특성, 문화적인 배경 등에 따라 지역문제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지만, 한편으로는 두드러진 특성별로 유사한 형태의 지역문제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은 것도 사실입니다.지역개발 문헌에 많이 사용되는 용어 중의 하나가 ‘전략’이라는 용어입니다. ‘전략’의 정의로서 옥스퍼드 사전은 “적과 싸움에 있어서 자신에게 가장 유리한 시간, 장소, 그리고 상황을 만들기 위하여 제반 자원을 배치 내지 관리하는 전쟁 기술 또는 계획”을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군사뿐만 아니라 정치·.. 2024. 8. 28. 지역개발의 학문적 성격 1. 종합성지역개발은 사회과학의 한 분야로서 행정학·경제학·정치학·지리학·도시계획학·사회학 등의 기초이론을 종합하여 실제 다양한 지역개발 분야에 적용하는 응용학문입니다.행정학과의 관계로서, 지역개발은 개발의 추진 주체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이기 때문에 자연히 이러한 공공조직에 대한 지식이 요구됩니다. 그리고 개발에 드는 주요 재원이 공공재원인 예산이기 때문에 재정에 관한 지식도 요구됩니다. 또한 지역개발은 결국 지역개발 정책으로 추진되기 때문에 효과적인 대안이 탐색 및 분석과 정책 과정에 관한 일반적인 정책학적 지식도 요구됩니다.경제학과의 관계로서, 지역개발은 주된 개발 대상이 지역경제의 촉진 내지 활성화이기 때문에 경제에 관한 지식이 요구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개인이나 집단은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고.. 2024. 8. 28. 지역문제의 개념과 원인 1. 지역문제의 개념지역문제는 크게 지역 내의 문제와 지역 간의 문제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지역 내의 문제는 한 지역 내부에서 빚어지는 문제로서 도시와 농촌문제로 나타납니다. 지역 내부에서도 인구와 산업활동이 집적되어 과밀의 폐해가 나타나거나 산업활동이 침체 혹은 낙후되어 도시가 황폐해지는 경우는 도시문제이고, 젊은 노동력이 그 고장을 떠나고 산업활동이 전반적으로 위축된 것이 바로 농촌문제입니다.지역 간의 문제는 기본적으로 지역 간의 격차로 인한 불균형 문제입니다. 잘사는 지역과 못사는 지역, 사회경제적 기회가 풍부한 지역과 그렇지 못한 지역 간에는 갈등이 팽배해지기 쉽고 그것은 궁극적으로 국가사회의 전체적인 통합과 발전에 장애 요소로 작용할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수도권과 기타 지역 .. 2024. 8. 28. 지역이란 무엇인가 1. 지역의 개념지역의 개념 정의를 내리는 것은 용이한 일이 아닙니다. 구체적으로 경제적인 기준을 사용할 것인지, 행정적인 기준을 사용할 것인지 또는 역사적인 기준을 사용할 것인지 하는 것이 불분명한 사태에 있습니다. 지역의 개념 정의에서 자료의 획득이 용이하고 정책적인 고려의 대상이 된다는 측면에서 행정적 경계 기준이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연구의 목적에 따라서 다양한 기준이 이용되기도 합니다.예컨대 미국과 같이 대부분의 하위 국가계획이 대도시를 기준으로 집행되는 곳에서는 대도시를 기준으로, 지역이 나누어질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 개별 국가의 도시화 수준에 따라서 지역의 수는 수십 개에서 수백 개까지 될 수 있습니다. 단지 이 경우에는 도시의 영향권 밖의 일정 영역들은 지역의 범주에서 빠지는 결과가 .. 2024. 8. 28.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