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개발11 갈등과 지역이기주의 1. 지역이기주의의 대두 배경1) 정치·행정의 민주화정치·행정의 민주화로 인하여 권력구조가 분권화됨에 따라 집단민원이 상대적으로 증가했으며 이는 사회의 기본 틀 유지를 위하여 필요한 여러 공공사업의 시행을 어렵게 할 정도가 되었습니다. 과거 권위적인 정치·행정 체제하에서는 비록 정책이 지역 실정이나 지역주민의 이익과 상충한다고 하더라도 이에 대한 반발은 제한적이었으며 한시적이었습니다. 그러나 정치·행정이 민주화된 사회에서는 과거의 권위적인 해결 방법이 더 이상 용인되지 않으며, 그만큼 주민의 저항을 무마하기 어렵게 되었습니다. 2) 산업화의 진전과 시민의식의 부재도시화가 급속히 이루어졌고 사회적 분화가 심화되었고 유동성이 제고됐지만 정신문화는 상대적으로 지체됨으로써 인간적 소외가 팽배하였고 공동체 의식이.. 2024. 12. 26. 지역 교통 문제 지역 교통 문제는 지역 내에 과도하게 집중된 사람들의 각종 활동을 위한 통행 욕구를 교통시설이 충분히 충족시켜 주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지역 교통 문제는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 문제로 이해될 수 있으며, 교통수요와 교통시설공급의 불균형으로 야기되는 교통 문제는 도로 교통혼잡·주차난·대중교통수단의 승차난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 외에도 소음·대기오염 등의 교통공해와 교통사고 등의 문제도 늘어나는 교통수요에 따르지 못하는 교통시설의 공급부족 때문에 더욱 악화하는 교통 문제에 속합니다. 1. 도로 교통혼잡세계의 대도시들이 공통으로 겪고 있는 문제가 도로 교통혼잡, 즉 교통체증이다. 우리나라 대도시의 교통체증은 급격한 차량의 증가에 따라 점차 심화하여 교통 애로 구간이 도심지뿐만 아니.. 2024. 9. 2. 테크노폴리스 1. 개념테크노폴리스(technopolis)란 1979년 일본 통산성의 한 공무원이 미국의 실리콘 밸리를 염두에 두고 만든 말로 technology(기술)와 polis(도시)를 합성한 것입니다. 테크노폴리스는 반도체·전자·신소재·정밀기계와 같은 첨단산업, 이공계대학과 연구소, 그리고 전원의 매력적인 주거 공간이 잘 조화된 생산적이고 질이 높은 생활 수준을 가져올 수 있는 고도 기술 집적 도시를 가리킵니다. 테크노폴리스가 지역 경제개발의 전략으로 전 세계적으로 쓰이는 유일한 용어는 아니며, 나라마다 테크노폴리스의 유형에 따라 과학단지 혹은 첨단연구도시·첨단산업도시·첨단산업연구도시 등 다양한 용어와 개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테크노폴리스에 대한 다양한 명칭 사용과 유형·성격 등에도 불구하고 한가지 공.. 2024. 8. 30. 형평성의 개념과 형평성과 효율성의 상충관계 형평성은 효율성 개념과 함께 사회과학에서 중요한 쟁점이 되어 온 개념입니다. 정치학자들은 오랫동안 “누가 체제로부터 무엇을 획득하는가?” 하는 결과와 관련된 주제에 관심을 표명해 왔습니다. 정치학이나 행정학에서는 정치·행정체계가 공공재나 서비스를 공평하게 배분하고 있는지가 주된 연구과제였습니다. 지역개발에서도 지역 정책의 형성 과정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그 결과에 대한 분배적 측면이 매우 중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형평성에 관한 일반적인 논의보다는 지역 공간적 측면에서의 형평성에 초점에 맞추어 논의하겠습니다. 1. 형평성의 개념형평성이라는 개념은 그 구체적 의미가 매우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동등하게 또는 공정하게 배분된 상태를 말합니다. 우리말 큰 사전에서는 형평이라는 개념을 수평이라는.. 2024. 8. 29.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