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4

한계효용학파·케임브리지학파 1. 한계효용학파1) 시대적 배경사회주의경제학이 노동자계급의 입장을 대변하면서 자본주의 체제의 변혁을 요구하는 극단적인 노선을 걷는 데 비하여, 사회주의 및 노동조합운동에 반대하면서 고전학파와 같이 정부의 간섭을 배제하고 자유방임정책을 옹호하는 학파가 1870년대에 등장하였는데 이 학파가 한계효용학파입니다. 1870년대에는 서구 각국의 경제가 대체로 지속적인 성장을 실현하는 가운데 노동의 생산성과 모든 계급의 생활 수준이 향상되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하에 한계효용학파는 사회주의 경제학파이론의 독단을 배척하고 자본주의의 장래에 대하여 낙관적인 견해를 가졌습니다.이 학파는 영국의 제본스(William S. Jevons), 오스트리아의 멩거(Carl Menger), 프랑스의 왈라스(Léon Walr.. 2024. 8. 13.
역사학파·사회주의 경제학파 1. 역사학파1) 시대적 배경이 학파는 독일의 경제적 후진성을 탈피하기 위하여 19세기에 등장한 학파입니다. 자본주의의 종주국인 영국은 19세기 초 유럽에서 가장 발달한 자본주의국가로서 세계의 공장이었고, 영국 상품은 세계시장을 석권하고 있었습니다. 이와 반대로 독일은 수많은 영주에 의하여 분할 통치되고 있었으며, 경제는 낙후되어 농업국의 지위를 벗어나지 못하였습니다. 나폴레옹의 대륙봉쇄에 의하여 겨우 발전을 시작한 공업은 봉쇄가 풀리자, 영국의 상품이 물밀듯이 들어와 치명적인 타격을 입게 되었습니다.이러한 후진적인 경제구조를 개선하고 당시 독일경제를 지배하고 있던 영국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는 강력한 국가권력으로 걸음마 단계에 있는 기간산업을 보호·육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식되었습니다. 이같이.. 2024. 8. 13.
중상주의·중농주의 학파·고전학파 1. 중상주의1) 시대적 배경중상주의란 15세기 중엽부터 18세기 중엽까지 3세기 동안 유럽에서 경제적으로 자본주의의 초기 단계인 상업자본주의가 형성되던 시기의 경제사상과 경제정책을 말합니다. 그 당시 유럽 각국은 안으로 지방분권주의, 밖으로는 교회의 보편주의 및 다른 나라와 싸우면서 근대 민족 국가를 세우기 위하여 정부 주도하에 적극적인 부국강병책을 썼습니다. 나라를 부강하게 하는 지름길은 정부의 보호·지원 아래에 주요 산업을 적극 육성하며, 가급적 수출을 많이 하고 수입을 억제하여 무역수지를 극대화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중상주의의 대표적인 사상가로는 영국의 먼(Thomas Mun), 페티(William Petty), 깡띠옹(Richard Cantillon), 프랑스의 콜베르(Jean Baptis.. 2024. 8. 13.
지식의 경제학과 인터넷 경제학 1. 지식의 경제학경제학에서는 새로운 지식이 기존 지식 스톡에 추가되는 것을 기술 진보라고 봅니다. 기술 진보는 새 지식의 창출과 동일시하는 것입니다. 이때 지식은 체계화된 정보를 말합니다.지식은 공공재에 준하는 것으로서 비경합성이라는 근본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과 같은 사적재는 내가 1개의 사과를 먹으면 다른 사람이 그 사과를 먹을 수 없다는 점에서 경합적입니다. 100사람이 하나씩 사과를 먹기 위해서는 100개의 사과가 생산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지식은 한사람이 사용할 때 다른 사람이 사용하는 것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비경합적입니다.한 지역에서 녹색혁명을 일으킨 고생산성의 농업기술을 이용하는 게 다른 지역에서 똑같은 농업기술을 이용하는 데에 아무런 어려움을 주지 않습니다.물론 지식을 다.. 2024. 8.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