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4

비대칭 정보와 자원배분 불완전한 정보의 특수한 경우로 비대칭정보가 있습니다. 비대칭정보란 한 사람이 다른 사람보다 우월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현실 시장거래에 비대칭정보가 흔하게 있습니다. 중고차를 팔려고 하는 소유자는 사려고 하는 소비자보다 해당 차의 상태에 대해 훨씬 잘 알고 있습니다. 생명보험에 가입하는 사람은 보험회사보다 자신의 건강 상태에 대해 훨씬 잘 알고 있습니다. 취업희망자는 회사보다 자기의 능력을 더 잘 알고 있습니다.비대칭정보가 있을 때는 비록 경쟁시장이라 하더라도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는 시장균형이 성립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시장균형이 성립하더라도 거래가 위축되어 시장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됩니다. 비대칭정보가 시장의 실패를 초래할 수 있는 것입니다. 비대칭정보 아래에 경쟁시장이 시장.. 2024. 8. 12.
투기자와 위험시장 사전에는 「시장가격의 변동을 예상하고 그 차익을 얻기 위하여 행하는 매매·거래」를 투기라고 정의합니다. 즉 쌀 때 사서 비쌀 때 팔아 생기는 매매차익을 노리는 행위가 투기입니다. 불확실성이 지배하는 사회에서 불확실성을 완전히 제거하는 완전한 정보를 얻는다는 건 불가능합니다. 불완전 정보에 가격의 변동을 예상한다는 것은 기회와 위험을 동시에 수반합니다. 시장경제가 고도로 발달하면 가격변동에 따르는 위험 자체를 사고파는 시장이 다양하게 등장합니다. 위험 혹은 위험회피 서비스가 거래되는 시장을 위험시장이라 합니다. 위험시장의 대표적인 예로는 선물시장과 보험시장이 있습니다. 1. 선물시장선물시장이란 선물이라는 상품이 거래되는 시장입니다. 선물이란 어떤 상품을 현재 결정한 가격으로 미래의 특정 시점에서 인도할 것.. 2024. 8. 12.
시장의 실패와 그 원인 1. 시장의 실패의 의의자유시장경제에서 자원의 배분은 가격의 매개변수적 기능에 의해 소비자와 생산자들 간의 자발적인 교환과 경쟁을 통하여 이루어집니다. 모든 시장이 완전경쟁이면 자원배분이 효율적이라는 것입니다.그러나 이 명제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실상 몇 가지 숨은 가정이 필요합니다. 그것은 규모의 경제, 외부효과, 공공재 등이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현실경제에서는 대게 이것들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경제행위를 시장에만 맡기는 경우 자원배분이 효율적이라는 보장이 없습니다. 이 때문에 정부가 경제에 개입하는 혼합경제가 등장하게 된 것입니다.시장의 실패란 경제활동을 시장에 맡기는 경우 효율적인 자원배분이나 공평한 소득분배를 실현하지 못하는 상황을 말합니다. 이러한 시장 실패를 초래하는 원인은 크게 세.. 2024. 8. 12.
정부의 경제적 기능과 실패 1. 정부의 경제적 기능정부는 경제활동을 시장기구에 전적으로 맡기지 않고 시장의 실패를 교정하기 위하여 경제에 개입합니다. 자본주의경제에서는 시장기구가 무엇을 얼마나, 어떻게, 누구를 위하여 의 세 기본적인 경제문제를 풀게 하되 시장의 실패를 교정하는 것이 정부 역할입니다. 구체적으로 정부의 경제적 기능은 크게 네 가지입니다. 시장경제를 위한 법과 제도의 제정·운용, 사회적으로 바람직스러운 자원배분, 소득재분배, 거시경제의 안정화가 그것입니다.첫째, 정부는 시장경제가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법과 제도를 제정·운용합니다. 무엇이 사유재산인가, 경제적 자유의 범위는 어디까지인가, 어떤 계약이 합법이고 어떤 계약이 불법인가, 생산자의 의무는 무엇인가, 노사 쌍방의 권리와 의무는 무엇인가 등등이 명확하게 설정되지 .. 2024. 8. 12.